전국마을버스

경기도 마을버스 주요 노선 요약 – 구별 정리

크림오버 2025. 8. 1. 10:12

경기도는 수도권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대규모 생활권 지역으로, 서울시와 달리 도심과 외곽의 연결성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교통수단이 필요하다. 특히 마을버스는 지하철이나 시내버스가 닿지 않는 아파트 단지, 골목길, 농촌마을 등을 연결하며 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작동하는 핵심 교통 수단이다. 하지만 경기도는 시·군 단위 행정구역으로 나뉘어 있고, 각 지자체가 마을버스 노선을 직접 관리하거나 위탁 운영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정보가 통합되어 있지 않고, 지역별로 노선 체계도 상이하다.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경기도 내 주요 도시별 마을버스 노선을 구별로 요약하고, 각 지역의 특징적인 노선 구조와 환승 연결 방식, 주민 이용 수요 중심의 노선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경기도 거주자 또는 경기도 마을버스를 이용하려는 외부 방문객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경기도 마을버스 주요 노선 요약

 

성남시 – 구도심과 판교를 연결하는 생활노선 중심

성남시는 분당·판교 신도시와 수정·중원 구도심으로 나뉘며, 마을버스는 주로 지하철역과 주거지를 연결하는 짧은 생활노선 구조를 가진다.

  • 성남10번: 태평역 – 단대오거리 – 중앙시장 – 성남동
  • 성남8-1번: 분당서울대병원 – 정자역 – 이매동 – 분당중앙공원
  • 성남3번: 모란역 – 상대원시장 – 현대아파트 – 성남산업단지
  • 성남36번: 판교역 – 운중동 – 백현동 – 판교푸르지오

분당·판교는 고밀도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마을버스가 설계되어 있으며, 대부분 환승 연결을 고려한 배차간격(10~15분)을 유지하고 있다. 성남시는 2025년부터 일부 마을버스를 전기차로 전환 중이며, 도심권 노선의 실시간 위치정보도 성남버스정보센터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수원시 – 광역노선과 도심순환노선이 공존

수원시는 인구가 120만 명 이상으로, 마을버스의 노선 구조 또한 복잡하고 다양하다. 도심을 순환하는 짧은 노선과 광교·호매실 등 신도시를 연결하는 중거리 노선이 병존한다.

  • 수원6번: 영통역 – 망포동 – 경희대 – 태장동 – 수원터미널
  • 수원13번: 장안문 – 수원역 – 매산로 – 세류동 – 화서역
  • 수원9번: 광교중앙역 – 이의동 – 연무동 – 행궁동
  • 수원16번: 호매실지구 – 구운역 – 고색동 – 오목천역

수원시는 마을버스 대부분이 지하철 1호선, 수인분당선, 신분당선 환승역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심 혼잡 완화를 위해 마을버스가 외곽을 순환하는 구조로 설계된 경우도 많으며, 노선 중복을 줄이기 위한 조정 작업이 매년 일부 진행되고 있다.

 

고양시 – 일산권과 덕양권 분리 운영

고양시는 일산서구·일산동구·덕양구로 나뉘며, 마을버스도 지역별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다. 일산권은 킨텍스, 정발산, 주엽 등 신도시 아파트 지역과 지하철역을 연결, 덕양권은 화정·행신·삼송 등 구도심과 도심 경계지역을 연결하는 노선 중심이다.

  • 고양11번: 화정역 – 화정1동 – 대곡역 – 행신동
  • 고양82번: 주엽역 – 문촌마을 – 일산동구청 – 탄현동
  • 고양76번: 대화역 – 킨텍스 – 운정지구 – 고양시청
  • 고양33번: 삼송역 – 원흥역 – 고양도서관 – 고양세무서

고양시는 전체 마을버스 노선 중 약 70% 이상이 환승 노선으로, 지하철과 연계해 교통카드 환승이 가능하다. 특히 킨텍스, 고양시청, 고양종합터미널 등을 중심으로 생활권 밀착형 정류장이 배치되어 있다.

 

부천시 – 짧은 간선 연결 중심의 정밀 노선 구조

부천시는 시 전체가 밀집된 도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마을버스가 짧은 거리 구간을 자주 순환하는 형태로 운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마을버스는 부천역, 송내역, 중동역 등 핵심 환승역을 중심으로 설정된다.

  • 부천013번: 부천역 – 원미동 – 상동 – 소사본동
  • 부천017번: 송내역 – 부천터미널 – 옥길지구 – 역곡동
  • 부천021번: 중동역 – 상동홈플러스 – 부일중 – 춘의동
  • 부천020번: 부천시청 – 도당동 – 자유시장 – 부천대학교

부천시 마을버스는 대부분 15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오전 6시부터 밤 11시까지 꾸준한 배차가 이루어진다. 스마트폰 앱을 통한 실시간 도착 정보도 지원되며, 2025년부터 일부 노선은 AI 수요예측 기반 탄력 배차를 시범 운영 중이다.

 

기타 주요 도시: 의정부, 안양, 용인, 남양주

경기도는 대도시 외에도 여러 중소도시에서 마을버스가 활발히 운행되고 있다.
각 시별 대표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의정부시:
    • 의정부13번: 신곡동 – 경민대 – 회룡역 – 가능동
    • 의정부31번: 의정부역 – 녹양역 – 가능동 – 자금동
  • 안양시:
    • 안양6번: 범계역 – 인덕원역 – 평촌자이 – 안양터미널
    • 안양9번: 명학역 – 박달동 – 안양예술공원 – 안양1번가
  • 용인시:
    • 용인99번: 죽전역 – 동백지구 – 기흥역 – 구성역
    • 용인26번: 수지구청 – 풍덕천동 – 신봉동 – 죽전고등학교
  • 남양주시:
    • 남양주10-5번: 평내호평역 – 다산동 – 덕소 – 화도읍
    • 남양주3번: 진접역 – 별내동 – 오남읍 – 왕숙신도시 예정지

이들 지역은 광역철도 연계, 재개발지구 수요, 농촌 거점 연계 등을 기준으로 마을버스 노선이 설정되어 있으며, 매년 수요조사를 통해 일부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노선 폐지보다는 통합·순환형 개편을 우선 적용하는 것이 최근 정책의 흐름이다.

 

경기도 마을버스는 생활권 중심의 유기적 교통망이다

경기도의 마을버스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지역 생활권을 연결하고 대중교통의 마지막 연결고리를 담당하는 핵심 교통 인프라다. 각 도시별로 지리적 구조, 인구 밀도, 지하철 연계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마을버스는 고정된 형태보다 유연하고 정밀한 운행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앞으로는 노선별 수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기반 배차, 전기버스 전환, 모바일 결제 통합 시스템이 경기도 전역에서 확대될 예정이며, 이는 주민의 교통 편의성과 환경 개선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